본문

시조 보윤공 단소와 봉의재

 

 

 

 

시조(始祖) 보윤공(甫尹公) 단소와 봉의재

 

 

 시조 보윤공의 단소

 

  시조님의 묘소는 세월이 오래되어 잃게 되어 1959(己亥)에 전국 각지의 자손들이 뜻을 모아 '시조설단기성회(始祖設壇期成         會)'를   창립하였다

 

그리고 설단기지(設壇基址)를 매입하고 1962315일에 단소를 만들어 처음으로 대제봉행을 하였다.

단소 앞 비석에는 '고려보윤상산김공수지단(高靈甫尹商山金公需之壇)'이라고 되어있고오른쪽 측면에는 '순종 후 갑진 삼월 (純宗 後 甲辰 三月 )'이라고 되어있다

 

단소 규모는 전체 총 752평의 부지에 고려시대 묘소의 전형인 방분형(方墳形)으로 조성하였다사방 7.5m, 높이 1.2m이며 제단 앞에 2m의 비석이 세워져 있고상석과 향로석이 놓여 있으며 3단으로 조성된 뜰에는 문인석장명등사자석상망주석이 차례로 위치한다.

 

1962년 시조님의 단을 만들고 매년 음력 315일에 대제를 올렸는데 이후 자손들이 공휴일에 행사하기를 원하여서 1987(丁卯)에 대종회의 의결을 거쳐 양력 55일로 개정하였다.


 

 

 

 

시조 보윤공 재실 봉의재(鳳儀齋)

 

시조 보윤공 재실 봉의재(鳳儀齋)

 재실은 선산 근처에 세워진 건물인데 재각(齋閣재궁(齋宮)이라고도 한다상산김씨 시조님의

재실인 봉의재는 1967년에 창건하였다봉의재의 주요업무는 시조님 대제 봉행을 준비하고 문중 내외의 연락업무와 외부 참례객을 접대단소와 재질관리정기간행물 출판족보편찬선조님들의 문헌연구씨족사 연구뿌리 찾기 등을 총괄하고 있다.

시조님 재실을 '봉의(鳳儀)'라 하고 정문을 조양(朝陽)이라 한 것은 시경(詩經)』「대아(大雅)글귀에서 취하였으니 다음과 같다.

봉황명의(鳳凰鳴矣봉황이 우니,

우피고강(于彼高岡저 높은 산이로다.

오동생의(梧桐生矣오동나무가 자라니,

우피조양(于彼朝陽저 동쪽 산이로다.

봉봉처처(峯峯萋萋오동나무가 무성하니,

옹옹개개(雝雝喈喈봉황의 울음소리 화평이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