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학상식
|
묘소 앞 상석 이해하기 |
|
植光諱公金山商生學 墳雙墓之氏李州慶人孺 坐巽 |
|
|
|
간단한 용어 풀이(일반적인 사항) |
|
•족보(族譜) : 관향이 같은 씨족의 세계(世係)를 수록한 보첩.
•파보(派譜) : 시조로부터
시작하여 한 개 파속만의 세계를 수록한 보첩을 말한다.
•가승(家乘) : 시조로부터
시작하여 자기 직계존속과 직계비속의 명․휘자와 사적을
기록
•본관(本貫) : 시조의
출신지를 말하는 것으로 본, 본관, 관향 모두
같은 뜻으로 통용된다.
•시조(始祖) : 초대의
선조 즉 첫 번째 조상을 말한다.
•세계(世系) : 조상대대로
이어 내려온 혈통을 계통적으로 표시한 것.
•함자(銜字) : 생존하신
분을 일컬음.
•휘자(諱字) : 작고하신
분을 일컬음.
•생졸(生卒) : 생은
출생을 졸은 사망을 말하는 것인바 70세 이상에
사망하면 수(壽)○○으로 하고, 70세 미만에 사망하면 향년(享年)○○이고 20세 미만에 사망하면 요절(夭折) 혹은 조요(早夭)라고 표시한다. •실(室)과 배(配) : 배우자를
말하는 것으로 실은 생존한 분을 배는 작고한 분을 구분한다. •묘지(墓誌) : 지석(誌石)이라고도
하며 천재지변 또는 풍우 등으로 묘(墓)를 잃어
버릴 경우에 대비하여 금속판이나 돌, 도판, 백자기등에 죽은
사람의 성명, 원적, 생년월일, 행적, 묘의 위치
등을 새겨서 무덤 앞에 묻는 것이다. •묘갈(墓碣) : 3품 이하의
관리 무덤 앞에 세우는 머리 부분이 둥 그스럼한 비석으로, 신도비에
비하여 체제와 규모가 적다. •묘소(墓所) : 분묘의
소재지와 좌향, 석물, 합장(합부,합폄,합조) 쌍분, 상․하분
등으로 표시한다. •묘비(墓碑) : 고인의
사적을 각자(刻字)한 석비(石碑)의
총칭이다. •중시조 : 시조이후에
쇠퇴하던 가문을 중흥시킨 분을
말한다. •세(世)와 대(代) : 시조를 1세로 하여
차례대로 따져서 정하는 것이 世이며 자기를 뺀 나머지를 차례로 따지는 것이 代이다. •아버지의
형님에는 백부(伯父)와 중부(仲父)가 있으며
동생은 숙부(叔父)이다. •종숙(從叔)․당숙(堂叔) : 같은 말로
할아버지 형제의 아들이며 촌수로는 흔히 말하는 5촌
아저씨이다. •대체로 종(4촌), 재종(6촌), 삼종(8촌), 사종(10촌)이내는
촌수를 따져 부르고, 10촌 이상의
조부항렬을 속칭
대부(大父)라 한다. •외숙하고
자기하고는 보통 구생간(舅甥間)이며
외숙은 자기보고 생질(甥姪)이라고
한다.
•고위(考位), 비위(妣位) : 작고하신
아버지를 고위, 어머니를
비위라 한다. |
|
|
|
계촌법 (남자직계) |
|
|
|
계촌법 (내종간/고모계) |
|
|
|
계촌법 (외가/외종간) |
| |